조용한 위험신호 치근단 낭종 발치 후 뼈이식 치료 과정
안녕하세요.
구리역 서울정성 치과의원 입니다.
구강 정기검진이 필요한 이유 중 하나는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들을 발견하기 위함입니다.
종종 눈에 보이는
문제 때문에 내원하셨지만,
정밀 검사를 통해
그보다 더 심각한 문제가
숨어있는 것을 발견할 때가 있습니다.
마치 빙산의 일각처럼,
표면에 드러난 문제는
실제 상황의 일부에 불과한 경우이죠.

촬영시기 : 2025.05.19
이렇게 전체적으로
보기에는 치아에만
문제만 있는 것 같습니다.
결손 부위가 많고
남아있는 치아들마저 파절되어
잔존 치근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촬영시기 : 2025.05.19
그러나 정밀한 CT 촬영을 통해
더욱 주의 깊게 살펴보면
앞니 중 하나가 치근단 낭종
소견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에 작성했던
글에서도 다뤘던 내용 중 하나인데,
치근단 낭종은 치아 뿌리 끝부분에
형성되는 액체가 찬
주머니 같은 병변입니다.

촬영시기 : 2025.05.19
치아의 신경이 죽고 나서
그 부위에 만성적인 염증이 지속되면서,
우리 몸의 방어 기전에 의해
염증 부위를 격리시키려는
과정에서 형성됩니다.
이 낭종은 서서히 커지면서
주변 뼈조직을 밀어내고
흡수시키게 됩니다.
마치 풍선이 부풀어 오르면서
주변 공간을 차지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발생 원인
치근단 낭종의 주된 발생 원인은
치아 내부의 신경 조직이 감염되어
괴사되는 것입니다.
✔ 깊은 충치가 치수 범위까지
크게 진행됐을 때.
✔ 외상을 받아 신경이
손상되었을 때.
✔ 부적절한 치료로
인해 재감염이 발생했을 때.
✔ 치관이 파절되어
잔존 치근만 남은 상황에서는
세균 침입이 용이해져
이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치근단 낭종을 방치할 경우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낭종이 지속적으로 커지면서
주변 치아의 뿌리를 흡수시키거나,
인접한 치아들을
흔들리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보여드린 상악 전치부 부위에는
낭종이 크게 확장되면
비강 같은 주위 구조물에
손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근단 낭종이 발견되면
신속한 제거가 필요합니다.
낭종은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증가하고 주변 조직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촬영시기 : 2025.06.12
낭종 적출 과정에서는
한 덩어리로 깔끔하게
제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잇몸 절개 후 뼈를 조심스럽게 다듬어
낭종에 접근한 후,
낭종 벽관 주변 조직을 분리하여
적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낭종벽의
일부라도 남겨두면 재발할 가능성이 있어
철저한 제거가 필요합니다.
잔존 치근도 함께 발치하여
재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
낭종에 의해 소실된 골을 회복하기 위해
이 부위에 뼈이식을 시행하여
골조직이 안정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식재가 주변 뼈와
융합되기까지는 충분한
치유 기간이 필요하며,
이 과정을 통해 향후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건강한 뼈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다뤘던 케이스와
이번 케이스의 공통점은
바로 ‘아무런 증상이 없었다’
는 것입니다.
치근단 낭종은 통증이나
불편감 같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이렇게 정기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서서히 형성되면서
주변 조직이 점진적으로
적응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문제가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조기 발견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진료를 받는다면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이런 숨어있는 위험 요소들을
더 큰 문제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적 차원에서 검진을
한 번 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구리역 서울정성 치과의원 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5.19~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