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한 매복 사랑니 안전한 발치를 위한 3차원적 접근 방법.
안녕하세요.
동구릉역 근처 서울정성 치과의원 입니다.
지난번에 올린 사랑니 의학정보글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관련 포스팅을 더 해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특별히 복잡한 위치에
매복된 특이한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촬영일자 : 2025.01.16
파노라마 사진 기준 왼쪽 아래
어금니 부위를 살펴보면,
어쩐지 저를 쳐다보고 있는 것만 같은
치아가 있습니다…
부담스럽네요.
이런 위치는 상당히 특이한 경우입니다.
보통 매복 사랑니의 경우
인접 치아를 향해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앞/뒤쪽으로 누워있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촬영일자 : 2025.01.16
파노라마 사진으로 눈을 마주쳤지만
바깥쪽(볼 쪽)으로 누워있기를 기대하며
CT를 촬영했으나,
결과는 안쪽(설측)으로
누워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것은 더욱 난감한 상황이 됩니다.
그 이유는 안쪽에는
혀 신경과 큰 혈관 같은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이 있기 때문에
특별히 더 주의를 기울여야 됩니다.

2차원 파노라마 사진으로는
치아와 주요 해부학적 구조물 간의
정확한 위치 관계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처럼 복잡한 경우,
CT를 통한 3차원적 분석이 필수입니다.
간혹 방사선 문제를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new eco-x-s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해부학적 구조와 노이즈를 구분하고,
파노라마보다 적은 방사선량으로도
왜곡이 없는 고화질의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또한, 금속 보철물로 인한
인공 음영을 구분하여
해부학적 구조물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 안전하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케이스는
대학병원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촬영일자 : 2025.01.16
CT를 상세히 분석하고 철저한
치료 계획을 세워, 큰 문제 없이
치료를 완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촬영일자 : 2025.04.15
또 다른 케이스를 살펴보겠습니다.
양쪽 아래 매복 사랑니가 관찰됩니다.
얼핏 보면 평범한
매복 사랑니일 수 있는데요.
마찬가지로 대학병원에 가야 된다는
진단을 받은 상태였습니다.
원인을 살펴보니 치아 뿌리와 아래턱을 지나는
하치조신경이 겹쳐 보이는 양상이 있어,
CT를 통한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촬영일자 : 2025.04.15
간혹 2차원 평면 사진인 파노라마에서는
치아와 신경이 겹쳐 보이지만,
3차원 상으로는 실제로 떨어져 있는 경우가 있어
CT를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촬영일자 : 2025.04.15
치아 뿌리 끝과 신경이
정.확.히 겹치는 위험한 상황인데요.
이럴 때 위험한 상황인 건 맞지만
그렇다고 이를 빼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구조를 정확히 파악한 후
신경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발치를 진행하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구하면 안 되고,
치아를 분리하여 조심스럽게
빼는 것이 중요합니다.

촬영일자 : 2025.04.15
발치가 끝난 뒤 에는
이후에도 후유증은 없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해야합니다.
다행히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오늘 보여드린 자료들에서 알 수 있듯이,
보조해 주는 진단 장비
또한 중요합니다.
3차원 CT를 통한 정확한 진단은
예상치 못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특이하고 복잡한
케이스 일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파노라마 영상뿐만 아니라,
CT 촬영을 통한
3차원적 분석은 필수로 진행되야 합니다.
『오늘 내용도 도움이 좀 되셨나요?』
사랑니는 언제나
긴장되기도 하면서
흥미로운 케이스가 많은 것 같습니다.
다음에도 여러분을 위해
구강 지식을 전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01.16~2025.04.15
